본문 바로가기

금성3

[태양계]공중에 기구 띄워 지진 감지 성공, 금성에서도 실험한다 공중에 기구 띄워 지진 감지 성공, 금성에서도 실험한다 고감도 기압계 장착한 기구 띄워 80㎞ 떨어진 곳서 발생한 여진 감지 출처: 조선일보(2021.06.23/이영완 과학전문기자) 미국항공우주국(NASA·나사) 제트추진연구소의 시다스 크리슈나무르티 박사와 캘리포니아 공과대(칼텍)의 제니퍼 잭슨 교수 공동 연구진은 지난 22일 “공중에 띄운 기구(氣球)로 2019년 발생한 캘리포니아 지진의 여진(餘震)을 감지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같은 방법으로 금성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도 알아낼 수 있다고 기대했다. 금성은 표면 온도와 기압이 워낙 높아 접근하기 어려운데 기구를 이용하면 공중에서 안전하게 지진 활동을 감지할 수 있다는 것. 과학자들은 앞으로 다양한 탐사선을 금성으로 보내 지구와 비슷한 .. 2021. 6. 26.
[태양계]금성이 지옥처럼 변한 건 목성 탓 금성이 지옥처럼 변한 건 목성 탓 목성이 태양 근접하며 공전 궤도 바뀌자 물 소멸 출처: 조선일보(2020.10.07 / 이영완 과학전문기자) 목성만 없었다면 지금도 금성이 생명체가 살기에 적합한 환경이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금성에서 생명체를 발견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진 가운데, 금성의 환경이 어떻게 급변했는지 알려줄 단서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UC)의 스티븐 케인 교수 연구진은 지난달 30일 국제 학술지 ‘행성 과학 저널’에 “태양계 형성 초기에 목성이 태양에 근접했다가 멀어지는 과정에서 금성의 궤도가 바뀌면서 지금처럼 혹독한 환경이 됐다”고 밝혔다. 금성은 크기나 밀도는 지구와 비슷하지만 내면은 완전 딴판이다. 두꺼운 구름층이 누르는 힘 탓에 표면 압력이 .. 2021. 6. 16.
[태양계]'샛별' 금성의 하루 길이는 243.0226일, '샛별' 금성의 하루 길이는 243.0226일, 하루 편차만 20분 출처: 연합뉴스 (2021.04.30) 15년치 레이더 자료로 측정…"정확한 측정치 없으면 눈 가리고 비행하는 셈" '샛별' 금성은 지구 바로 옆에 붙어있는 태양계의 두 번째 행성이지만 두꺼운 구름에 덮여있어 의외로 아는 것이 적다. 산성비가 내리고 납도 녹일 만큼 고온이며, 지구와 같은 암석형 행성으로 크기, 질량, 밀도 등이 비슷하다는 것 등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행성의 하루 길이 편차와 같은 가장 기본적인 속성마저도 정확히 측정되지 못해왔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UCLA)에 따르면 이 대학 행성·우주학 교수 장 뤽-마고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난 15년 간 금성 표면에 발사한 전파가 반사되는 것을 포착해 자전과.. 2021. 6. 9.